파킹 통장과 파킹형 ETF(TIGER CD금리투자KIS(합성),TIGER KOFR금리액티브(합성),KODEX KOFR금리액티브(합성))
이번시간에는 파킹 통장과 파킹형 ETF(TIGER CD금리투자KIS(합성),TIGER KOFR금리액티브(합성),KODEX KOFR금리액티브(합성)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
파킹 통장이란?
차를 주차하듯이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다는 의미로 '파킹'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통장을 뜻합니다
과거에는 이자가 거의 없었으나, '파킹 통장'이라는 이름으로 마케팅을 하며 이자를 주면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
보통 수시입출금통장을 말하며, 보통예금인데,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통장입니다
은행에 있는 MMDA 통장이 대표적인 파킹 통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, 'money market deposit account'의 약자인데, 수시입출금통장과 비슷한데, 차이는 고액을 예치하면 이자가 높습니다.
파킹형 ETF 란?
단기채 ETF를 말하는데, 파킹 통장처럼 수시로 매수, 매도하며 수익을 챙길 수 있다는 의미로 붙인 마케팅 용어 입니다
예전부터 있었으나 최근 금리가 오르면서 인기가 올라가고 있습니다
파킹형 ETF 종류 (ETF 이름, 상장일, 총보수(A), TER(A+B), 상장일, 기초지수)
TIGER CD금리투자KIS(합성), 0.03%, 0.05%, 2020-07-07, KIS CD Index(총수익)
- 이 ETF는 양도성예금증서(CD) 관련 파생상품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, “KIS CD금리투자 지수(총수익 지수)”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.
- “KIS CD금리투자 지수(총수익지수)”는 KIS채권평가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, 일별 고시되는 CD91일 금리의 일일 수익률을 기준으로 산출된 지수입니다. 또한, 자본손익 및 경과이자 수익 이외에 발생한 현금을 지수에 편입된 종목에 재투자하는 것을 가정해 산출하는 총수익(Total Return) 지수입니다.
TIGER KOFR금리액티브(합성), 0.03%, 2022-11-30, KOFR 지수
-이 ETF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113조에 따른 액티브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 채권 및 채권관련 집합투자증권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,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비교지수인 ‘KOFR 지수’ 변화를 초과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표로 합니다.
-투자신탁의 비교지수 대비 초과수익 실현을 위하여 KOFR 지수 관련 장내파생상품, 집합투자증권, 채권, 단기자금 수급 분석을 통한 기일물(만기 2일 이상의 Repo 거래) Repo 운용 등의 전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KODEX KOFR금리액티브(합성), 0.05%, 0.05%, 2022-04-26, KOFR 지수
-이 투자신탁은 한국예탁결제원이 산출하는 KOFR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액티브상장지수펀드입니다.
※ 그러나 상기의 투자목적이 반드시 달성된다는 보장은 없으며, 집합투자업자, 신탁업자, 판매회사 등 이 투자신탁과 관련된 어떠한 당사자도 투자원금의 보장 또는 투자목적의 달성을 보장하지 아니합니다.
※기초지수
KIS CD Index(총수익) : 매일의 ‘CD 91일 금리’ 수익률을 추종, CD금리란 은행이 발행하는 양도성예금증서인 CD가 발행되어 유통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때 적용받는 이자율
KOFR : 금융거래지표 신뢰성 제고를 위해 ‘21년 도입된 한국무위험지표금리(Korea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)
이번시간에는 파킹 통장과 파킹형 ETF(TIGER CD금리투자KIS(합성),TIGER KOFR금리액티브(합성),KODEX KOFR금리액티브(합성))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댓글